Nollo
25
Archivum
Nollo is derived from the Latin concept meaning ‘absence’ while Archivum originates from the Latin word for ‘record’ or ‘repository.’ Nollo 25 Archivum is a space of memory that flows through the layers of time, position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past 25 years and the coming 25 years, creating a dialogue between history, the present, and the future. More than a mere record, it serves as an artistic repository reflecting the essence and aesthetics of Ousia in Nollo, curating traces of photographs, films, and objects into a singular narrative. At its core, this archival project is about reconstructing and reviving timeless values through a contemporary lens, intertwining historical context with the language of the present. By assembling images, texts, objects, and video clips into a conceptual book format, Nollo 25 Archivum materializes its vision through continuous publications and tangible collections. It is not simply about preservation but about recontextualizing memory within the present and, ultimately, redefining the aesthetic and philosophical sensibilities of the future.
<놀로>는 없음(無)을 뜻하는 라틴어적 개념에서, <아르히붐>은 기록, 보관소를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합니다.
놀로 25 아르히붐은 시간의 층위를 따라 흐르는 어샤인놀로의 기억의 공간으로,
지나온 2025년과 다가올 2026년의 교차점에서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사유의 장을 마련합니다.
단순한 기록이 아닌, 어샤인놀로의 본질과 미학을 반영하는 예술적 저장소인 놀로 25 아르히붐은,
사진과 필름, 오브제 등의 흔적을 축적하여, 하나의 서사로 구성하는 어샤인놀로의 아카이브 프로젝트입니다.
시대를 초월하는 가치들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며,
역사적 맥락과 동시대적 언어가 맞닿는 큐레이션을 통해 유산을 재구성하고 재탄생시키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미지와 텍스트, 오브제, 영상 클립을 조합한 컨셉트 북의 형태의 연간 출판물,인
물리적 형태로 구현된 아르히붐 북컬렉션을 통해 어샤인놀로의 가치를 실체화합니다. 이
단순한 보존을 넘어, 기억을 현재의 맥락 속에서 새롭게 조명하고,
나아가 어샤인놀로의 미적·철학적 감각을 정립하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Archivum}